반응형
id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
finger, who, w
현재 리눅스에 누가 접속해 있는가를 출력.
접속중인 계정, 접속시간, IP등이 출력된다.
who는 가장 간단한 정보만을 출력하여 주며, finger는 사용자의 정보를 보다 자세히 보여준다.
w는 사용자가 현재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도 볼 수 있다.
df
하드디스크의 각 파티션 당 전체 용량과 사용중인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
옵션
du
'disk use'라는 의미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옵션의 뒤에 디렉토리를 넣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출력한다.
옵션
ps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알아볼 때 사용
옵션
출력된 내용에서 PID는 프로세스 ID번호, STAT항목은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STAT 각 코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kill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
옵션
하나의 데몬에 프로세스가 여러개 생성될 수 있다.
이런경우 killall 명령어를 사용하며 pid가 아닌 프로세스의 이름을 사용한다.
killall [프로세스이름]
top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의 CPU 사용량이나 Memory 사용량을 보여주며, 5초 단위로 시스템 상태와 프로세스의 상태를 갱신해서 실시간으로 화면에 보여준다.
실행중 옵션
top을 실행해서 보여지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sleep
주어진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역할
일반적인 명령어로 쓰이기 보다는 쉘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쓰인다.
chkconfig
리눅스를 부팅할 때, 자동으로 데몬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
런레벨 3이면 콘솔로 부팅.
런레벨 5이면 X윈도우로 부팅.
각각의 런레벨별로 자동시작 데몬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at
명령어라기 보다 리눅스 데몬의 한 종류이다.
지정한 미래의 시간에 어떤 작업을 할 것을 예약하는 데몬이다.
crontab
명령어라기 보다는 리눅스 데몬의 한 종류이다.
정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예약해 놓고 실행시키는 데몬.
at 데몬은 1회성 작업의 데몬이지만 crontab은 주기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옵션
작업내용의 편집 입력은 vi편집기의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시간을 설정하고 그 후에 실행될 내용 (쉘이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입력 형식은 다음과 같다.
telnet
다른 시스템에 접속할 때 사용.
ftp
ftp를 연결할 때 사용
ftp에 접속한 후 사용할 명령어에 대해서는 ? 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id [옵션]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
finger, who, w
현재 리눅스에 누가 접속해 있는가를 출력.
접속중인 계정, 접속시간, IP등이 출력된다.
who는 가장 간단한 정보만을 출력하여 주며, finger는 사용자의 정보를 보다 자세히 보여준다.
w는 사용자가 현재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지도 볼 수 있다.
df
df -[옵션]
하드디스크의 각 파티션 당 전체 용량과 사용중인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을 확인할 때 사용.
옵션
i | inode로 디스크의 정보를 출력 |
k | kbyte 단위로 출력 |
m | Mbyte 단위로 출력 |
h | 파일을 보기 쉬운 용량으로 출력 |
T |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출력 |
du
df -[옵션]
'disk use'라는 의미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옵션의 뒤에 디렉토리를 넣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출력한다.
옵션
k | Kbyte 단위로 출력 |
m | Mbyte 단위로 출력 |
h | 파일을 보기 쉬운 용량으로 출력 |
s | 해당 디렉토리의 하위디렉토리까지 합계로 출력 |
ps
ps[옵션]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알아볼 때 사용
옵션
a | 다른 사용자의 프로세스까지 출력 |
u |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유저와 그 시간을 출력 |
x | 터미널의 제어 없이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 |
l | 상세 정보 출력 |
출력된 내용에서 PID는 프로세스 ID번호, STAT항목은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STAT 각 코드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R : Running -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
- S : Sleeping - 실행을 쉬고 있는 상태
- Z : Zombie - 완전히 죽어있는 상태. '좀비 프로세스'라고 한다.
- D : Disk wait - 인터럽트가 죽어있는 상태
- T : Traced or stopped - 프로세스의 실행이 정지되어 흔적만 남아있는 상태
kill
kill -{신호번호} PID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
옵션
l | 시그널로 사용할 수 있는 시그널 목록을 보여줌 |
1 | 프로세스를 재실행한다. |
9 |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한다. |
하나의 데몬에 프로세스가 여러개 생성될 수 있다.
이런경우 killall 명령어를 사용하며 pid가 아닌 프로세스의 이름을 사용한다.
killall [프로세스이름]
top
top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의 CPU 사용량이나 Memory 사용량을 보여주며, 5초 단위로 시스템 상태와 프로세스의 상태를 갱신해서 실시간으로 화면에 보여준다.
실행중 옵션
Space | 화면을 갱신한다. |
h | 도움말을 보여준다. |
r | Nice 값을 변경한다. |
s | 화면을 갱신하는 시간(초단위)을 변경(기본값 : 5초) |
M | 프로세스를 실제 메모리 사용량(RSS) 순서로 정렬 |
P | 프로세스를 CPU 사용량으로 정렬(기본값) |
q | top을 종료한다. |
top을 실행해서 보여지는 항목들은 다음과 같다.
- PID : 프로세스 ID 번호
- USER : 프로세스의 소유자
- PRI : Priority. 프로세스 우선순위
- NI : Nice 값. -20 ~ 19 사이의 값으로 작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 SIZE : 프로세스의 코드와 데이터의 크기. KB단위
- RSS : 프로세스가 사용중인 실제 메모리 양
- SHARE : 프로세스가 사용중인 공유 메모리 양
- STAT : 프로세스의 상태. S, D, R, Z, T 등으로 구분
- %CPU : CPU 사용률
- %MEM : 메모리 사용률
- TIME :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시간
- COMMAND : 프로세스가 실행한 명령어
sleep
sleep "숫자"
주어진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역할
일반적인 명령어로 쓰이기 보다는 쉘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쓰인다.
chkconfig
chkconfig --list "데몬이름"
chkconfig --level "런 레벨 번호" "데몬이름" <on|off>
리눅스를 부팅할 때, 자동으로 데몬을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
런레벨 3이면 콘솔로 부팅.
런레벨 5이면 X윈도우로 부팅.
각각의 런레벨별로 자동시작 데몬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at
at [-q queue] [-f file] [-options] 시간
명령어라기 보다 리눅스 데몬의 한 종류이다.
지정한 미래의 시간에 어떤 작업을 할 것을 예약하는 데몬이다.
crontab
crontab [옵션]
명령어라기 보다는 리눅스 데몬의 한 종류이다.
정기적으로 필요한 작업을 예약해 놓고 실행시키는 데몬.
at 데몬은 1회성 작업의 데몬이지만 crontab은 주기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옵션
-e | 작업 내용을 편집/입력한다. |
-l | 현재 예약된 작업 목록을 보여준다. |
-r | 예약된 작업을 지운다. |
작업내용의 편집 입력은 vi편집기의 명령을 사용하면 된다.
시간을 설정하고 그 후에 실행될 내용 (쉘이나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입력 형식은 다음과 같다.
Minutes Hours Date Month Day-of-Week command
- Minutes : 0부터 59까지
- Hours : 0부터 23까지
- Date : 1부터 31까지
- Month : 1부터 12까지
- Day-of-Week : 0부터 7까지. [0 또는 7=일요일, 1=월요일, 2=화요일, 3=수요일, 4=목요일, 5=금요일, 6=토요일]
- command : 스크립트 파일 또는 bourne 쉘 파일.
telnet
telnet "주소"
다른 시스템에 접속할 때 사용.
ftp
ftp "주소"
ftp를 연결할 때 사용
ftp에 접속한 후 사용할 명령어에 대해서는 ? 를 입력하면 확인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 ascii 혹은 as : 파일 전송을 ascii 타입으로 전환(기본값)
- binary 혹은 bi : 파일 전송을 binary 타입으로 전환
- bye : 접속을 종료하고 되돌아온다.
- cd :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 delete : 파일을 지운다.
- hash : 파일 전송과정을 해쉬문자(#)로 보여준다.
- lcd : ftp로 접속한 시스템이 아닌, 현재 시스템의 디렉토리를 보여준다.
- ls : 파일 및 디렉토리 리스트를 보여준다.
- mget : 파일을 다운받는다. wild card(*)를 사용할 수 있다.
- get 파일명 : 파일을 다운받는다.
- put 파일명 : 파일을 업로드한다.
반응형
'Study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basic] 파일 입출력 관련 명령어 (0) | 2009.04.25 |
---|---|
[Linux][basic] 기본 명령어 (0) | 2009.04.22 |
[Linux][basic] vi 편집기 (0) | 2009.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