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efik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로컬 개발 환경(rancherdekstop k8s traefik ingress)에서 https 사용해 보기 이전 글에서 mkcert 를 사용하여 *.pem , *-key.pem 인증서를 생성하여 로컬 개발 환경에서 https proptocal로 사용하였었다.내 경우 로컬에서 rancher-desktop 으로 kubernetes 에서 ingress (traefik) 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https 로 설정을 진행해 보았다.TLS Secret 생성이전 글에서 다음과 같이 java project에서 사용할 *.p12 인증서 파일을 -pkcs12 옵션을 사용하여 생성하였다.[[Window 개발 환경에서 https로 Spring Boot Application 개발하기]]mkcert -pkcs12 "*.bluesky.local" "*.cloud.bluesky.local" "*.api.bluesky.local.. Rancher Desktop의 Traefik 사용 시 Dashboard 활성화하기 Traefik Dashboard 소개Traefik Dashboard는 Traefik에서 처리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web UI 화면을 제공해 준다.https://doc.traefik.io/traefik/operations/dashboard/Rancher Desktop을 사용하면 traefik을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해 주어서 별도의 설치를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사용이 가능하다.traefik deploy 설정을 확인해 보면kubectl -n kube-system describe deploy traefikTraefik의 Dashboard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rgs: --global.checknewversion --global.sendanonymoususage..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