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pring

(70)
Spring Boot Admin 사용해 보기 소개 Spring Boot Actuator까지 설정하고 Actuator의 내용을 /actuator/* 주소를 호출하여 확인하는 것까지 진행하였었다. 각각의 application을 일일이 조회하여 확인하는 것은 가장 단순한 방법이고 여러 application의 상태를 한 곳에서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다. metric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유료로 제공하는 경우도 있고 오픈 소스로 사용하기 좋은 것도 많다. Spring Boot Admin는 오픈소스로 로그를 따로 저장하지 않고 단순하게 조회할 때마다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UI를 제공해 준다. Spring이 제공하는 공식 오픈소스는 아니고 codecentric에서 제공하는 오픈 소스이다. https://github.com/codece..
Spring Boot Actuator 사용해 보기 소개 Spring Boot Actuator는 application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여러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Http endpoint나 JMX를 통해 application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auditing, health 및 metric 수집을 application에 자동으로 적용한다. Spring Boot Actuator에 대한 안내는 document의 Production-ready Features 섹션으로 안내되고 있다.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index.html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a..
Spring Security, Spring Security OAuth2 Client를 MSA로 구성해 보기 개인적인 공부를 진행한 과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구성 개요 MSA로 유저 정보를 제공하는 security api 서버와 그걸 사용하는 서버를 구성하려고 한다. 두 서버 모두 Spring Security를 사용하지만 security api를 제공하는 서버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는 전제 조건으로 응답을 하고 사용하는 서버는 앞단 웹 서버라고 가정해 본다.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되도록 Spring Security의 기본 설정을 사용한다고 가정해서 진행한다. 서버 구성은 다음과 같다. security api server - api 서버, 인증 정보를 저장/응답하는 역할 담당 gate server - 호출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서버 제공하려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user password를 사용한 로그..
Spring Cloud OpenFeign 사용해 보기 Spring Cloud OpenFeign 소개 eureka에 여러 application이 등록되었으면 이제 이 정보를 사용하여 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msa를 사용하게 되면 각 서버들 간 호출의 종속성을 끊어 사용할 수 있다. 도메인도 마찬가지인데 이렇게 끊어놓은 각 서버 간 호출을 매번 restTemplate을 사용하여 작성하면 작성하는 것도 일이고 유지보수 하는 것도 일이다. https://github.com/OpenFeign/feign OpenFeign을 사용하면 api 호출 설정을 간소화하여 interface 선언만으로 호출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방식을 선언적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declarative web service client)라고 한다. Feign은 Neflix OSS 프로..
Spring Cloud Netflix Eureka Server 사용해 보기 Eureka 소개 msa를 구성하면 각 application은 서비스 상황에 따라 트래픽이나 부하가 증가할 경우 인스턴스를 추가로 생성하거나, 반대로 트래픽이나 부하가 감소할 경우 인스턴스를 줄이는 등 microservice에 대한 개별 관리를 하게 되고 이러한 확장과 축소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처리를 하여 빈번하게 변화하게 된다. 수시로 변하는 환경을 감지하고 로드 밸런싱을 할 수 있어야 각 msa 간 연계를 관리할 수 있다. 이렇게 동적으로 변하는 환경을 감지하기 위해 Service Discovery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Eureka Server이다. 각 application은 Eureka Client를 통해 Eureka Server로 스스로의 정보를 전달한다. Eureka Server는 이렇게 전..
Spring Framework 6.0.x 이후 Web 에러 처리 - ProblemDetail 사용하기 Spring Framework web의 기존 에러 처리 기존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여 웹을 구현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에러 처리를 사용한 에러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태였다. { "timestamp":1417379464584, "status":400, "error":"Bad Request", "exception":"org.springframework.web.bind.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message":"Validation failed for argument at index 0 in method: public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test.UserController.testUser(test.U..
spring-cloud-netflix-eureka-server 재시작 시 instance 초기화 문제 eureka server를 사용해 보려고 설정을 진행하였다. 적절하게 설정을 하고 각 client에서 @EnableDiscoveryClient annotation을 설정하니 instance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었다. 이제 잘 사용하면 되는데 문제는 eureka server를 재기동할 때 등록된 instance가 초기화된다는 점이었다. eureka server의 경우 별도의 back end store를 사용하지 않는다. eureka server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Peer Awareness이다. https://docs.spring.io/spring-cloud-netflix/docs/current/reference/html/#spring-cloud-eureka-server-peer-awareness..
Spring Cloud Config Server 4.0.0 jdbc profile 사용 변경점 Spring Cloud Config Server를 jdbc profile로 사용하여 db를 연동하는 경우 4.0.0 버전으로 변경하고 나서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별다른 오류가 보이지 않고 호출이 되지 않아 찾기 애매한데 문제가 되는 원인은 바로 다음 변경점 때문이다. https://github.com/spring-cloud/spring-cloud-config/commit/7627b230541a3426345c500efa770545cc81c7ab#diff-a3eaa2bb41eb88db463409fe07bb6422e521ae439216ee450f5d3806f6483310 기존에는 전체 공통으로 사용하는 값은 "default"라는 값의 profile로 저장하면 조회가 되었다. JdbcEnvi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