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clipse

(14)
[troubleshooting] eclipse(STS)에서 sources and javadoc downdoad 무한 반복 현상 STS 4.12.0에서 코드 변경 시 progress에 associate sources and javadoc with classpath 가 뜨고 끝없이 무한 반복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원인은 STS 4.12.0에서 사용하고 있는 eclipse-m2e의 버그다. https://github.com/eclipse-m2e/m2e-core/issues/252 install New Software에서 아래 주소를 추가하여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면 된다. https://download.eclipse.org/technology/m2e/releases/latest/ 2021-11-01 추가 내용 위 패치 내용을 포함한 버전의 STS 4.12.1이 release 되었다. 따라서 STS를 이후 버전으로 사용하면 해당 문제가 해..
STS (Eclipse)에서 Language Server 동작 비활성화 하기 STS 4.6.2 버전 이후 Eclipse의 Language Server기능이 적용되었다. github.com/spring-projects/sts4/wiki/Changelog Language Server는 content type에 따라 각 서버를 통해 언어 지원을 해주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html 파일을 열 경우 해당 파일 내 javascript 구문이 있으면 Angular Language Server가 활성화된다. 문제는 내가 javascript를 개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데 html 파일을 여러 개 열면 그 여러 개 파일에 대해 각각의 Language Server가 실행된다는 점이다. 많이 열수록 의도치 않은 Language Server가 동작하고 점점 느려지게 된다. 굳이 이 기능을 써야..
eclipse workspace 위치에 git directory를 바로 clone하여 사용하지 말 것 eclipse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버전이 바뀌면서 workspace의 변경 처리를 하여 이전 버전의 eclipse와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동일한 git 소스를 브런치 별로 따로 개발을 하기 위해 여러 벌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런 경우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workspace 별로 해당 directory 내에 git 소스를 받아 그대로 import 하여 사용하였다. 웬만한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spring-boot와 같이 프로젝트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artifactId가 존재하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Project at 'C:\Users\bluesky\Documents\workspace-opensource\spring-boot' can't be named 'spring-boo..
Eclipse (STS) 메모리 설정 이후 응답 없음 현상 (2019-09-20 추가) STS 4.4.0 이후 아래 해당 현상은 해결되었다. 따라서 이 글의 설정을 더이상 할 필요가 없어졌다. sts에서 workspace에 프로젝트를 여러개 열다보면 out of memory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피하기 위해 기본 설정된 메모리보다 더 많이 잡고 사용하게 된다. 기본 설정 -Dosgi.requiredJavaVersion=1.8 -Xms256m -Xmx1024m 변경 후 -Dosgi.requiredJavaVersion=11 -Xms512m -Xmx2048m 그런데 계속 프로젝트가 응답없음 현상이 발생한다. 작업관리자를 보면 메모리나 cpu 사용율이 문제가 되는건 아닌데 이런 현상이 발생되면 아래처럼 추가를 해주면 된다. -Dosgi.requiredJavaVersi..
Eclipse debug view의 Variables에 Error 가 표시되는 경우 잘 쓰던 Eclipse (또는 STS)가 최근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나서 debug 창에 객체 정보가 올바르게 보이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STS 4.2.0, 4.2.1에서 확인한 현상임) 예를 들어 아래처럼 에러가 나서 하위 객체의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 또 해당 객체를 클릭하면 아래에 관련 정보를 간략하게나마 아래창에서 확인이 된다. 뭔가 새 버전의 eclipse에서 기본 설정값이 바뀐 것 같은데 하위 객체 정보를 바로 보지 못해 불편하다. 아래와 같이 해당 창에서 오른쪽 마우스 -> Show Logical Structure -> Array 체크 항목을 해제하면 기존의 결과처럼은 보이지 않지만 어느 정도 확인을 할 수 있게 된다. 해당 설정은 이전 버전에서도 동일한 설정이었고 현재..
Eclipse Package Explorer 에서 Maven Dependencies 정렬하기 Eclipse를 사용하면서 Package Explorer의 Maven Dependencies에서 참조된 dependency jar를 열어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정렬이 되어 있지 않아 찾기가 힘들다. 요걸 정렬하는 옵션이 Eclipse에 있다. Window -> Preferences -> Java Appearance 에 Sort library entries alphabetically in Package Explorer 옵션을 활성화해주면 된다. 해당 설정을 하면 아래 처럼 정렬이 되어 찾기 편해진다.

반응형